심리학179 스마트폰은 왜 내 집중력을 빼앗을까? 스마트폰은 왜 내 집중력을 빼앗을까? 🔍집중력과 주의력, 뭐가 다를까?✅ 먼저 용어부터 정리해 볼까요!! 구분정의예시주의력 (Attention)주어진 여러 정보 중, 어디에 관심을 둘지 선택하는 능력시끄러운 교실에서 선생님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집중력 (Concentration)선택한 대상에 대해 오랫동안 주의를 유지하는 능력수학 문제 한 장을 30분 동안 끈기 있게 풀기 👉즉, 주의력은 ‘선택’, **집중력은 ‘지속’**입니다. 🎯주의력의 종류 1. 지속적 주의 – 한 가지 자극에 오래 관심을 유지예: 독서 시간 동안 책 한 권을 쭉 읽는 것 2. 주의 전환– 필요에 따라 관심 대상을 바꾸는 능력예: 수업 중 갑자기 다른 과목 시험 공지가 있을 때, 그쪽으로 관심을 돌리는 것 .. 2025. 8. 2. 청소년과 편도체 청소년과 편도체 감정의 경보 시스템, **편도체(Amygdala)**란?🔍 편도체란 무엇인가요? 편도체는 뇌의 측두엽 깊숙한 곳에 위치한 아몬드 모양의 신경세포 집합체입니다. 사람의 뇌 양쪽에 하나씩, 총 2개가 존재하며, 감정 반응을 조절하고 기억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감정과 반응의 중심, 편도체의 역할 공포, 불안, 분노 등 강한 감정 반응 처리 편도체는 특히 위협적인 자극을 감지했을 때 빠르게 반응합니다.예를 들어 갑자기 큰 소리가 나면 놀라고, 도망칠 준비를 하는 것도 편도체의 작용입니다.생존과 관련된 반사적 판단 "싸울 것인가, 도망칠 것인가(fight or flight)" 반응을 빠르게 결정합니다. 이 덕분에 인류는 위험한 상황에서 빠르게 반응하며 생존해 왔습니다.기억과 .. 2025. 7. 31. 좋은 부모가 되는 호르몬? 좋은 부모가 되는 호르몬?이 있다! 자녀를 낳은 부모가 '좋은 아빠'와 '좋은 엄마'가 되게 하는 신경회로를 발견한 생물학자가 '실리콘밸리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브레이크스루상을 수상했다. 10일(현지시간) 브레이크스루상재단은 미국 캐서린 뒬락 하버드대 교수(사진)가 올해 브레이크스루 생명과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뇌세포 속 '갈라닌(galanin)'이라는 단백질이 포유류가 자녀를 양육하는 행동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공로다. 수상 소식을 접한 뒬락 교수는 "뇌가 순간 얼어붙었다가 갈기갈기 찢어지는 느낌"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자신의 이론을 인정받기 위해 오랜 시간 사회적인 통념과 싸우며 고군분투해 왔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부성애'도 모성애만큼 강하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 2025. 7. 30. 불안에 대하여 불안에 대하여 -심리학자와 함께 가는 '치유의 영화관'에서- 책 소개 갈등을 통해 성장하는 우리의 모습을 영화를 통해 비추어본 심리서. 저자는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과거의 아픔을 직면하고,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해 앞으로 나아가라고 말한다. 또한 저자는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서로를 지금 모습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 다른 사람의 공감을 받고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했다면 함께 치유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심각한 갈등에 빠진 사람들의 문제뿐만 아니라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평범한 고민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다. 심리학에서 빠질 수 없는 불안과 고독, 나르시시즘, 자기애적 성격장애를 비롯해 선택과 공감의 문제에 대해서도 두루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한다... 2025. 7. 23. 이전 1 2 3 4 5 ··· 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