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7 조현병 2 감각과 기억 능력은 정상이지만, 그 정보를 통합하여 분석하고 논리적인 결론을 내어 상황에 대응하는 뇌 기능의 발현 수위가 통제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조현병은 의식이 깨어있는 채 자신의 뇌에 대한 통제를 잃고 있는 상태이기에, 기억과 연상은 그저 의식의 흐름에 따라 제멋대로 일어날 뿐이며, 별것 아닌 주변 상황의 변화조차 지나치게 호의적으로, 혹은 지나치게 적대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극단적인 대응 행동을 보이게 된다. 이는 보통 주변인들에게 환각/망상/편집증 증상으로 해석되지만 사실은 훨씬 더 고약하고 위험한 것이다. 조현병 환자들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문제가 생김으로써 일반인보다 도파민이 과다하게 분비되기 때문에, 도파민을 뻥튀기 시켜주는 메스암페타민 등의 마약이 초래하.. 2024. 5. 21. 조현병 조현병 조현병 (調 絃 病, Schizophrenia)은 환각, 망상, 행동이상 등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일종의 만성 사고장애이다. 그 미만이면 기간에 따라 단기 정신증적 장애 (0~30일), 조현양상장애 (1~6개월)로 진단된다.우울증 등과 다르게 신경증이 아니라 정신증에 속한다. 한자어 '조현(調絃)'은 현악기에서 올바른 음을 내기 위해 줄을 조율하는 것을 의미한다. 뇌의 신경 구조가 제대로 조율되지 않아 혼란을 겪는 상태는 현악기의 줄이 너무 느슨하거나 팽팽해져 제대로 된 소리를 내지 못하는 상황과 비교될 수 있다. 조현병을 가리키는 'schizophrenia'라는 명칭을 만든 것은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서 조현병을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정립했던 파울 오이겐 블로일러(Paul Eugen B.. 2024. 5. 20. 자기애적 성격장애 자기애적 성격 장애란? 자기애적 성격 장애(NPD)는 만연한 과대성 패턴, 지속적인 존경에 대한 욕구,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건강 상태입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경우 MMPI의 전형적인 프로파일이 존재하지는 않으나, 대체로 4-9 코드타입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즉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타입으로 자극추구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힘과 통제의 관점에서 대인관계를 바라본다는 점에서 자자기애적 성격장애의 특성과도 부합한다. NPD를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기 중요성에 대한 과장된 감각을 갖고 있으며 자신이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그들은 종종 자신의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과도한 존경과 인정을 요구합니다. NPD와 관련된 몇 가지 일반적.. 2024. 5. 19. 비고츠키의 발달이론 : 사회문화이론 비고츠키 레프 비고츠키(Lev Vygotsky, 1896년 11월 17일 ~ 1934년 6월 11일)는 벨라루스 태생의 유대계 러시아인 심리학자이다. 본명은 레프 심호비치 비고츠키(Лев Симхович Выгодский)이다. 그는 '발달심리학에 사회과학을 접목시킨 "문화-역사 심리학"의 아버지로 평가받는다. 다만 그는 "문화-역사 심리학"이란 테제를 제시했을 뿐 용어 자체는 그의 이론을 따르는 심리학자들이 만든것이다. 특기할 만한 사항은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법학도 출신이라는 점이다. 비고츠키(Emile Durkheim)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기 프랑스의 사회학자로, 사회문화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사회적 통합, 질서, 문화, 그리고 사회적 분열과 같은 주제들을 .. 2024. 5. 17.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