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왜 아침밥을 먹어야 할까요? 행복 호르몬 : 세로토닌

by 이노기87 2025. 8. 12.

행복 호르몬 : 세로토닌

 

세로토닌(Serotonin)은 우리 몸과 뇌에서 기분, 수면, 식욕, 통증 조절 등 여러 기능을 담당하는 아주 중요한 신경전달물질이에요.
흔히 **“행복 호르몬”**이라고 부르지만, 정확히는 호르몬이 아니라 신경전달물질에 가깝습니다.

 

 

세로토닌

 

 

 


1. 세로토닌의 역할 기분 조절


세로토닌 수치가 적정하면 안정감·행복감을 느끼기 쉽습니다.
부족하면 우울감, 불안감이 커질 수 있습니다.


수면 조절
세로토닌은 멜라토닌(수면 호르몬) 생성의 재료가 됩니다.
낮에 충분한 세로토닌 → 밤에 건강한 수면 유도 식욕·소화 조절 세로토닌의 약 90%는 장(소화관)에 존재하며, 장 운동과 소화에 관여합니다.


통증 조절
통증 신호를 조절하고, 통증에 대한 인식을 완화합니다.

 


2. 세로토닌 부족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우울감, 무기력 불안, 예민함


수면장애(불면·뒤척임) 식욕 변화(과식 또는 식욕부진) 집중력 저하


3. 세로토닌을 자연스럽게 높이는 방법

*햇빛 쬐기 ☀️ 하루 15~30분 햇빛을 받으면 세로토닌 생성이 촉진됩니다.
*규칙적인 운동 🏃 유산소 운동(걷기, 달리기, 자전거 등)이 특히 효과적입니다.
*단백질 섭취 🍳 세로토닌의 원료인 트립토판이 풍부한 음식: 달걀, 우유, 연어, 두부, 견과류

*명상·호흡법 🧘 스트레스 완화 → 세로토닌 분비 증가

*사회적 교류 🤝 웃고 대화하는 활동도 세로토닌 촉진에 도움

 

4. 세로토닌과 질환

 

*우울증: 세로토닌 부족이 관련, SSRI(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약물 사용

*불안장애: 세로토닌 조절이 불안 완화에 중요

*편두통: 세로토닌 변동이 원인 중 하나

*과민성 대장증후군(IBS): 장내 세로토닌 불균형과 관련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3) 2025.08.08
스마트폰은 왜 내 집중력을 빼앗을까?  (3) 2025.08.02
청소년과 편도체  (6) 2025.07.31
좋은 부모가 되는 호르몬?  (3) 2025.07.30
불안에 대하여  (2) 202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