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림자3

아니마와 아니무스 칼 융(Carl Jung)의 분석 심리학에서 아니마(Anima)와 아니무스(Animus)의 개념은 무의식과 개성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핵심입니다. 이 용어는 각각 남성의 무의식적인 여성적 측면과 여성의 무의식적인 남성적 측면을 설명합니다. 인간은 외부세계와 관계를 맺는 외적인격과 페르조나를 보상하는 정신요소로서 내면세계에 접촉하기 위한 내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 융은 우리의 내면세계에는 자아와 내면세계의 접촉을 중재해 주는 내적인격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내적인격은 남성과 여성의 무의식 속에 대조되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심리경향을 아니마, 아니무스라고 합니다.       1. 아니마정의: 아니마는 남성의 무의식 속에 있는 여성적 내면의 인격입니다. 그것은 외부를 향한 페르소나와는 대조적으로 그.. 2024. 7. 20.
칼 융 분석심리학 : 그림자 그림자  그림자는 나의 어두운 면, 즉 무의식적인 측면에 있는 나의 분신으로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억압된 자아의 그늘진 뒷면을 가리킨다. 그것은 인간 본성 중 제멋대로 구는 자기본위적인 측면으로 미발달 상태나 초기발달 상태와 같이 미분화된 채로 남아있는 원시적인 인간 심리의 일부분이다.         문학에는 의식적 인격과 무의식적 인격의 이중성을 표현하는 좋은 예가 있는데, 그것은 로버트 스티븐슨의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로 작품 속 하이드는 지킬 박사의 그림자로 볼 수 있다. 또한 민간설화에서 나오는 많은 대극적 인물―이를테면 ‘흥부와 놀부’, ‘콩쥐와 팥쥐’ 등 무수한 쌍들이 바로 인간정신의 의식성과 무의식성, 명과 암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한 쌍은 보다 신화적인 차원의 세계에서도 볼 수 있.. 2024. 7. 18.
칼 융의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 융은 한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집단무의식이 대립구도(enantiodromia)를 이루면서 이러한 대립 속에서 끊임없이 조화를 향해 역동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인식했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학적 연구가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길일 것으로 여겼다. 한편 이러한 맥락에서 융은 인간이 겪는 괴로움과 고통이 심리적 사회적 성숙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결과로서 삶에 대한 겸손(humble)을 주요하게 언급한 바 있다.        주요 개념 애니마 와 애니무스 - 사람의 프쉬케의 상대의 성을 뜻한다. 여성의 프시케의 경우, 그녀의 개인의 내적 남성성은 하나의 복합체와 원형의 이미지 둘 모두를 갖고 있다. 반면, 남성의 프쉬케의 경우, 그의 개인의 내적 여성성은 하나의 복합체와 원형의 이미.. 2024. 7. 5.